지도의 상태

미국에는 연합 국가가 있고 에는 양파 주가 있습니다. 우리는 지도의 상태를 가질 것입니다.

2007 년 OpenStreetMap은 첫 번째 사용자 및 해커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 초대되었습니다.

우리가 그것에 도달하기 전에,지도의 상태는 무엇입니까? 런던을 살펴 보겠습니다.

RandomJunk는이 애니메이션과 같은 멋진 이미지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미끄러운지도는 많은 개선을 얻고 있으며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유럽과 전 세계를 보여줘야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OSM (OSM 사용자가 한 달 동안 OSM에서 일할 수 있도록 임금을 지불하기 위해 함께 모인 곳)에 대해 돈을 지불했으며 웹캠을 가지고 있으면 즉시 시작됩니다. (어쨌든 OSMonth를 어떻게 정의합니까? 나는 이미 OSM에 오늘의 대부분을 보냈다 :-))

나는 유럽과 다른 곳의 친구들이 항상 OSM의 최고를 못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영국은 OSM의 출발점이며,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EU 언어 메일 링리스트 가 도움이되고, 내가 생각하는 최초의 EU 매핑 파티는 뮌헨을 매핑했습니다 :

주말 매핑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2006 년은 그들 중 많은 것을 보았습니다.

  • 와이트 섬
  • 맨체스터
  • 목욕
  • 새로운 숲 (* 둘)
  • 독서
  • 브라이튼
  • 틀 랜드
  • 뮌헨
  • 써리 힐스

내가 놓친 것이 있습니까? OSM에 대한 30-40 회담이 유럽과 미국 전역에서 나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의해 주어졌습니다. 옥스포드에서 오는 것과 같은 점점 더 많은 지역 술집 / 사교 모임이있었습니다. 그것은 나에게 OSM에 대한 더 놀라운 것들 중 하나이며, 사회적 성격은 매핑 파티와 끊임없이 증가하는 메일 링리스트 메시지 수 모두에서 핵심에 있습니다.

FreeThePostcode 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포스트 코드 파생과 함께 우수한 NPE 맵 을 어느 정도 생성했습니다. 비 영국 우편 번호는 곧 제공 될 예정입니다.

OSM 재단이 설립되었으며 현재 약간의 휴면 상태이지만 GPS 장치와 같은 것들에 대한 commissons를 얻는 Etienne의 훌륭한 작업을 통해 자금을 얻습니다. 우리가 사물의 회원 측면을 강화함에 따라 더 많은 일이 일어날 것입니다 … 그것은 우리를 회의로 다시 데려옵니다.

Andy와 Etienne과 같은 많은 사람들이 컨퍼런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기했으며 2007 년 중반이 아마도 영국 중부 어딘가에서 저렴하고 쉽게 비행 할 수있는 훌륭한 아이디어 일 것 같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2 ~ 3 일 일로 만들고 매핑을 시도 할 것입니다. 토론 할 수있는 위키 페이지가 있고 아이디어를 확고히합니다 – 그것이 실현되도록 돕는 것은 당신에게 달려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주제를 내려 놓고 싶다. 거대한 도전. 컨퍼런스에서 토론과 프리젠 테이션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

사람들은 OSM이 효과가 있을지 묻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그것이 이런저런 상황에서만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멈췄다. 내가 지금 묻고있는 것은 OSM이 언제 영국을 매핑 할 것인가입니다. 나는 ‘2008 년 중반’으로 반 뒤집어 쓰고 있습니다. 그리 멀지 않은 곳(30개월 정도)은 아니므로 조금 힘들지만 지난 2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살펴보면 얻을 수 있습니다. 그것이 현실적이든 아니든, 나는 그것을 도전으로 제안한다. 영국의 OSMers에 대한 거대한 도전과 회의의 일반적인 초점 – 우리는 어떻게 합리적인 시간대에 지구를 매핑 할 것입니까?

State of the Map 2022 입장권 및 프로그램 발표

Petar Milošević, CC BY-SA 4.0, 위키미디어 공용

State of the Map 2022 공식 홈페이지(https://2022.stateofthemap.org/programme/)에 행사 입장권과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올라왔습니다!

입장권
이제 State of the Map 2022의 입장권을 https://2022.stateofthemap.org/tickets/에서 오프라인, 혹은 온라인으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기여자 분들, 그리고 팬 분이시라면 이번 행사에 참가해 보세요.

올해 행사에는 두 종류의 입장권이 있습니다.

피렌체 입장권(Florence Ticket)
피렌체에서 열리는 State of the Map 2022에 오프라인으로 참석할 때 구매하는 입장권입니다. 이 입장권을 구매하면 회의 휴식 시간에 식사 및 사교 행사를 즐길 수 있습니다. 만약 취미로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하고 있다면, 할인된 가격으로 ‘커뮤니티 입장권(Community Ticket)’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정규 입장권(Regular Ticket)’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무장소 입장권(Venueless Ticket)
온라인으로 회의에 참석할 때 구매하는 입장권입니다. 본 입장권을 구매하면 실시간으로 강연을 볼 수 있고, 다른 참가자들과 대화할 수 있으며, 질의 응답 시간에 연사에게 질문을 보낼 수 있습니다.

얼리버드 입장권(Early Bird Ticket)
한국 시각으로 2022년 7월 2일 오전 8시 59분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입장권입니다. 정규 입장권의 가격은 추후 공개하겠습니다.

프로그램(일반 과정)
State of the Map 2022에서 발표를 원하는 분, 실습 진행을 원하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우리가 받은 놀라운 제안들을 추린 첫 번째 결과물을 https://2022.stateofthemap.org/programme/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학술 과정을 포함한) 행사 일정은 앞으로도 계속 업데이트됩니다.

시시각각 바뀌는 State of the Map 2022 소식을 놓치지 마세요!
질문이 있으시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sotm [at] openstreetmap.org로 메일을 보내 주시거나 https://t [dot] me/sotm2018 텔레그램 채널로 오세요.

피렌체에서, 온라인에서 봅시다!
State of the Map 작업반

이 글이나 다른 블로그 포스트를 여러분이 사용하는 언어로 번역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communication@osmfoundation.org 로 메일을 보내 주세요. 제목은 다음과 같이 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Helping with translations in [your language]

State of the Map매년 열리는 국제 오픈스트리트맵 회의(콘퍼런스)로,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에서 조직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영국에 소재한 비영리 단체로,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모두가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지리 공간 정보를 키우고, 발전시키고, 분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의 기반 시설을 소유하고 유지보수합니다. 여러분도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의 회원이 될 수 있습니다. State of the Map 조직위원회는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휘하 작업반 중 하나입니다.

2004년에 만들어진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은 자유로운 세계 지도를 만드는 국제 프로젝트입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도로, 철로, 강, 숲, 건물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전 세계에서 수집합니다.  우리의 지도 데이터는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상업용을 포함한 어떠한 목적으로든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정 지물을 강조한 여러분만의 지도 만들기, 경로 계산하기 등등, 모든 일이 가능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은 빠르고 쉽게 업데이트된다는 장점을 살려 갈수록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 맞는 개선된 데이터 구조를 향해

우리는 정점(노드), 길(웨이), 관계, 그리고 열린 태그 체계로 이루어진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구조 덕분에 오픈스트리트맵이 혁신적일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오픈스트리트맵의 데이터 구조를 사랑합니다. 그러나 오픈스트리트맵의 데이터 구조는 오래되었고, 몇 가지 개선할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바꾸고 싶지 않은 점도 많이 있습니다. 특히 자유롭게 열려 있는, 개방적인 태그 체계는 충분히 그 가치를 입증받았습니다. 몇 가지 작은 개선 사항을 생각해 볼 수도 있지만, 키 – 값(문자열) 태그의 무한한 조합을 허용한다는 핵심 발상은 놀랍도록 잘 작동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식 때문에 우리는 몇 가지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지리적 위치를 정점에만 나타낼 수 있으며 길이나 관계와 같은 상위 수준의 지리적 객체에는 나타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길의 위치를 알려면 항상 길에 속한 정점을 조회(참조)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를 처리하기 매우 번거로워지고 많은 컴퓨터 자원을 필요로 합니다.
자주 언급되는 또 다른 주요한 문제점은 ‘영역’ 데이터 유형이 없다는 것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서는 영역 대신 닫힌 길과 다중 다각형 관계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개체가 실제로 유효한 다각형인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엔지니어링 작업반(EWG)은 현재 데이터 구조의 문제점, 가능한 개선 사항, 이러한 개선 사항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연구 보고서를 앞으로 몇 달간 작성하도록 저, Jochen Topf에게 의뢰했습니다. 물론 데이터 구조의 변경 사항은 지도 제작자, 데이터 소비자, 소프트웨어 및 전체 오픈스트리트맵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변경 사항을 단계별로 구현하는 방법 또한 제안할 것입니다.

이번 연구에 관해 논의하고 싶다면 jochen@topf.org로 이메일을 보내 주세요. 2018년 밀라노에서 개최된 State of the Map에서 저는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구조의 몇 가지 문제를 설명하면서, 동시에 osm-data-model 리포지토리를 만들었습니다. 그 곳에도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 주세요. 예비 연구 후에 저는 (있다면) 우리가 원하는 변화와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를 공동체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토론이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영국에 소재한 비영리 단체로,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모두가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지리 공간 정보를 키우고, 발전시키고, 분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의 기반 시설을 소유하고 유지보수하며, 회비 및 기부금으로 오픈스트리트맵의 재정을 지원하며, 매년 State of the Map 콘퍼런스를 조직합니다. 우리 재단의 작업반과 소규모의 직원들은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매년 15파운드(약 2만 4천원)를 지불하면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의 회원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하고 있다면 연회비가 면제됩니다.

중재 위원회에 참여할 사람을 구합니다

소통의 장을 개선하기 위해 전 세계 오픈스트리트맵 커뮤니티의 자원봉사자들이 모여들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여기에 합류해 보세요! 지부 및 소통 작업반 중재 위원회(Moderation Subcommittee)는 여러분을 필요로 합니다.

중재 위원회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여러분들께 상세히, 단계별로 알려드리기 위해 작업 범위구현 계획 문서를 작성했습니다. 해당 문서에는 위원회에 참여하는 법과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또한 명시하고 있습니다.

잠깐만 시간을 내서 여러분의 생각과 관심사를 여기에 공유해 주세요! 추가로 가능하다면 이 글을 널리 퍼뜨려 주세요. 작성 폼은 4월 10일에 닫힙니다. 감사합니다!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한 최고의 세계지도

12월 3일은 국제 장애인의 날입니다. 그리고 오픈스트리트맵은 ‘휠체어 이용자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곳과 그렇지 못한 곳을 분류한 최고의 세계지도’가 되려 하죠. 오픈스트리트맵은 오래 전부터 장애인 관련 지물을 한데 모으고, 자유롭게 공유하기 위한 하나의 장소였습니다.

An image of a wheelchair user with text describing navigation issues. "Which public places are accessibl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essibility information is hard to find and not available in mainstream directories & apps" "This makes partaking in daily life difficult"
슬라이드: WheelMap, 사진: Andi Weiland, gesellschaftsbilder.de

우리는 접근성 메일링 리스트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왜, 그리고 어떻게 오픈스트리트맵이 그렇게 유용한지’를 물었습니다.

프랑스 클레몽 오베르뉴 대학교(Université Clermont Auvergne)에 다니는 Jean-Marie Favreau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의 강점은 지방 정부든, 단체든, 혹은 개인이든 누구나 접근 가능 여부(‘접근성’)를 기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가별로 휠체어 이용자들의 장비, 습관, 관습은 모두 다릅니다. 전 세계적인 프로젝트인 오픈스트리트맵을 이용하면 직접 목격하고 배운 이러한 차이점들을 쉽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픈스트리트맵은 모두의 것이고, 커뮤니티가 관리합니다. 그 덕분에 휠체어 이용자들이 겪을 수 있는 상황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미국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의 Nick Bolton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보통 지도에는 장애인들을 위한 정보가 없거나, 있더라도 정작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업과 정부 둘 다 장애인을 비롯한 다양한 사람들을 위한 도보용 지도를 지속적으로 만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은 이러한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데 가장 좋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은 유연하고, 민주적으로 확장 가능한 데이터 모델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은 다른 지도들과 달리 접근성 데이터를 직접 추가할 때 지도를 관리하는 기업이나 정부의 검토를 받지 않아도 되죠. 기여한 정보는 바로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베이스에 올라가,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오픈스트리트맵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해 준다는 것에 기쁨을 느낍니다. 장애인들을 위한 앱에 관해 알고 싶으시거나,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으시다면 이 글을 계속 읽으세요.

접근성 관련 앱

오픈스트리트맵은 접근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기 용이한 플랫폼입니다. 덕분에 오픈스트리트맵을 기반으로 장애인 관련 앱 또한 많습니다.

접근성 정보를 조사하고 공유하는 앱으로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Wheelmap입니다. Wheelmap은 휠체어의 접근 가능 여부를 오픈스트리트맵에 나타내는 데 유용합니다. 안드로이드, 아이폰 둘 다 지원하고요. 현재 Wheelmap은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없는 코로나19 검사소 데이터를 모으는 캠페인을 하고 있습니다. Wheelmap에 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Svenja Heinecke의 State of the Map 2018 발표 영상을 참고하세요.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한 내비게이션을 제작하는 데 인도 데이터는 매우 중요합니다. 워싱턴 대학교의 Taskar Center에서 주도하는 OpenSidewalks는 인도의 접근성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태그 체계이자 도구입니다. AccessMap은 OpenSidewalks의 자매 프로젝트로, 이동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경로를 찾아줍니다. 이탈리아에서도 파도바밀라노의 장애인, 고등학교 학생들, 기타 오픈스트리트맵 커뮤니티 사람들이 모여 비슷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을 위한 실내 내비게이션 앱도 있습니다. AccessbileMaps는 드레스덴 기술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와 카를스루에 기술연구소(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실내의 접근성 정보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순 실내 태그 체계(Simple Indoor Tagging scheme)를 통해 건물의 실내를 (접근성 정보 위주로) 지도화하는 도구를 개발하며, 시각 장애인, 지체 장애인 등을 위한 실내 정보 알리미 앱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Touch Mapper 3d printed tactile map in use
Touch Mapper 3d로 인쇄한 촉각 지도

이제 이렇게 모은 데이터를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촉각 지도를 이용하면 시각 장애인이 길을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Touch Mapper는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기반 촉각 지도를 3D로 인쇄해 주는 사이트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Microsoft Research)에서 개발한 Soundscape를 이용하면 주변 환경을 청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시각 장애인이 길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장소를 묘사하기 위해 청각을 이용하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편안하게 주변 환경을 느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앱은 오픈스트리트맵을 기반으로 합니다.

클레몽 오베르뉴 대학교(Université Clermont Auvergne)에서 진행하는 Compas 연구 프로젝트 중에는 촉각, 시각, 햅틱 피드백을 이용한 지도를 구축하는 ACTIVmap이 있습니다.

어떻게 도와줄 수 있나요?

a screenshot of editing accessibility information in a StreetComplete quest
StreetComplete에서 접근성 정보를 편집하는 모습

일반적인 오픈스트리트맵 기여자들처럼 JOSM(PC)이나 iD(PC), Vespucci(안드로이드), StreetComplete(안드로이드), OsmAND(안드로이드/iOS), Go Map!!(iOS)을 이용해 접근성 태그를 오픈스트리트맵에 직접 추가하면 됩니다! 

장애인들에게 유용한 태그를 추가하는 방법이 오픈스트리트맵 위키에 나와 있습니다. 아래 있는 예시들은 극히 일부로, 보다 많은 정보를 StreetComplete를 이용해 오픈스트리트맵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촉각 포장 보도블럭(tactile_paving=yes/no)과 촉각을 이용한 지도(information=tactile_map)
  • 장애인 주차 구역(amenity=parking_space + access=no + disabled=yes/designated)
  • 소리가 나는 신호등(traffic_signals:sound=yes/no)
  • 계단에 난간이 있는지의 여부(handrail:left/right/center=yes/no), 계단의 단 수(step_count=*), 경사로의 존재 유무(ramp=yes/no) 및 경사로의 종류
  •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상점(wheelchair=yes/limited/no), 화장실(toilets:wheelchair=yes/no)

도와주는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 예를 들어 장애가 있는 친구에게 오픈스트리트맵을 알려준다든지, 오픈스트리트맵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찾는다든지, 방법은 다양합니다. 지도 제작 파티를 벌여도 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위키를 다른 언어로 번역해도 되고요. 장애인들을 위한 경로 탐색 앱이나 지도 앱을 개발하는 것도 좋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서는 누구나 새로운 태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 있어야 하는 지물이 없다면, 새로운 태그를 제안해 보세요. 다수에게 그 가치를 인정받은 태그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게 됩니다.

참여하기

여러분이 오픈스트리트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려주세요. 우리와 소통하고 싶다면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accessibility에 올라온 메일들을 읽거나, accessibility-subscribe@openstreetmap.org로 메일을 보내세요.

Message from OSMF Board Chair on mailing list behavior

To the OpenStreetMap and OSMF communities:

I convey the following information on behalf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OpenStreetMap Foundation.

An outcome of the current controversy on the osmf-talk mailing list over misogynistic language is a decision by the Board as follows:

The Board will find partners to help instate a moderator team for the OSMF-talk and talk mailing lists.  These moderators need to have the trust of the community subject to the moderation (consent of the governed) by some kind of approval mechanism. 

This moderator team will start to work on enforcing the current Etiquette guidelines as soon as possible. We will also start work on updating/replacing our Etiquette rules, which must focus on balancing all participants’ interests.

We have asked the Local Chapters and Communities Working Group (LCCWG) to take the lead on this and to work with signatories of the open letter to the Board as well as members of the Diversity and Inclusion Special Committee to produce proposals for the Board to consider at its January meeting.  The LCCWG has accepted this task.  This issue will be on the agenda of the January meeting of the Board of Directors, exact time and date yet to be determined, though as is customary it will be posted to the Foundation’s website well in advance.

Members of the OSM community are, as always, welcome to share their opinions and any relevant information on this matter, either publicly via osmf-talk, or privately in direct communications to the LCCWG.  I feel compelled to remind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that a Code of Etiquette has existed since June 2011 and shall be observed by all community members.

Very best regards to all,

Allan Mustard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 Cesium 공동 보도: 오픈스트리트맵은 건물 지도!

참고: Cesium은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을 실버 레벨로 후원하고 있으며, 이 합동 기사는 후원 혜택 중 하나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을 후원하고 싶으시다면 재단에 기업 멤버로 들어오는 것을 고려하거나,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해 보세요.

비록 우리 프로젝트 이름에 “스트리트”가 들어가 있긴 하지만, 오픈스트리트맵에는 도로보다 건물이 4배나 더 많답니다!

최근에 우리 재단에 합류한 Cesium사에서 새롭게 내놓은 Cesium OSM Buildings는 3억 5천만 개의 오픈스트리트맵 건물 데이터가 담긴 글로벌 3D 건물 레이어입니다. Cesium OSM Buildings는 3D 타일로 기능하며, (원래 Cesium에서 개발했던) 3D 데이터 집합 스트리밍 공개 표준 포맷을 준수합니다.

이미지 © Cesium.

“오픈스트리트맵은 놀라운 3D 건물 데이터이자, 커뮤니티의 매퍼들이 작업 스킬과 고된 작업으로 빚어낸 결과물입니다.”라고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이사 Mikel Maron은 말한다. “우리는 Cesium이 기업 멤버로써 오픈스트리트맵을 지원하고 지지해 주는 것, 그리고 자사의 플랫폼에 오픈스트리트맵을 추가함으로써 오픈스트리트맵을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도록 하는 우리의 미션을 도와주는 것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전 세계 대부분 도시의 오픈스트리트맵에는 수많은 메타데이터(건물명, 이름, 주소, 영업 시각 등)가 있습니다. Image © Cesium.

항공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시작한 Cesium은 자사의 오픈소스 가상 지구본 CesiumJS를 2011년부터 유지보수하고 있습니다. CesiumJS는 최근 100만 다운로드를 달성했으며, CesiumJS의 개발자들은 수십 곳에 달하는 기업에 수천 개의 CesiumJS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해 주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의 건물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로젝트는 매우 많습니다. 이제 Cesium도 이 반열에 들게 된 것입니다. OSM Buildings 프로젝트는 오픈스트리트맵을 기반으로 한 자유·오픈 소스 3D 건물 웹 뷰어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 기반의 열린 3D 렌더링 소프트웨어 또한 블렌더를 비롯한 수많은 플랫폼에 존재합니다. OpenBuildingMap은 오픈스트리트맵에서 건물을 강조한 지도로, 다양한 필터 기능을 제공합니다.

건물 데이터를 오픈스트리트맵에 추가하는 도구는 굉장히 많습니다. 유명한 JOSM용 building_tools 플러그인과 Kendzi3D 플러그인부터, 건물의 세부 정보를 오픈스트리트맵에 추가하는 작업을 도와주는 StreetComplete까지요. 오픈스트리트맵에 건물을 나타내는 방법이란 글도 한번 읽어 보세요. 우리 재단에서 개최하는 연례 회의, State of the Map 2020에서 발표된 “건물은 새로운 도로이다”도 좋은 자료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 – 건물 그 이상
오픈ㅅ트리트맵은 자유로운 세계지도를 만들기 위한 전 세계적인 프로젝트입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 재단과 수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은 전 세계의 도로, 철로, 강, 숲, 놀이터, 벤치, 소화전의 위치와 정보를 수집합니다
. 우리의 지도 데이터는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어떤 목적으로든(상업적으로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을 이용하면 특정 지물을 강조한 여러분만의 지도를 만들거나, 경로를 계산하는 것 등이 가능합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매우 빠르고, 쉽고, 계속 업데이트되는 지도를 만들기 위해 오픈스트리트맵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 자주 기여하시나요? 그렇다면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에 더 쉽게 들어올 수 있습니다

Deutsch Français Galego Polski Nederlands Русский

Map data by OpenStreetMap Contributors. Official OSM logo by Ken Vermette, CC-BY-SA 3.0 & trademarks apply. Image by CWG CC BY-SA 2.0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에 크게 기여한 사람은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에서 오픈스트리트맵을 지원하고, 매년 이사를 투표로 뽑는 등, 목소리를 낼 권리가 있습니다. 다행히도, 가입비를 내지 않고도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에 들어갈 수 있는 길이 생겼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가입 작업반에서는 활성 기여자 가입 프로그램을 구축했습니다. 이제 가입비를 내지 않고도 손쉽게 재단에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에 가입하면 무엇을 할 수 있나요?

  • 이사 선거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후보자를 지지하세요.
  • 정기 회의에서 일부 안건에 투표할 권리를 가집니다(모든 안건에 투표할 권리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회원 메일링 리스트에서 재단원으로서 토론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이미 재단에 가입했다면, 여기에서 등록하세요. 기존 글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 메일링 리스트는 구독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됩니다.
    • 하루 동안 올라온 모든 메일을 하나로 모아서 받는 다이제스트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 메일은 여러분이 쓰는 언어로 자유롭게 보내 주세요 🙂
  •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회원이라고 주변에 자신 있게 말하고 다닐 수 있습니다 🙂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가요?

우리 재단은 1년(365일)에 42일 이상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한 사람이 가입 요청을 보내면 자동으로 승낙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모두가 지도 제작에 기여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재단에 가입된 사람들 이름을 보면 아마 어디서 많이 봤다고 느낄 텐데, 바로 지도 제작이 아닌 행사 개최 등으로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하는 사람들이죠. 이렇게 지도 제작 외의 방향으로 기여하는 사람의 업적도 인정되어야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1년에 42일 동안 오픈스트리트맵 수정에 기여하지 못했다면, 자신이 오픈스트리트맵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한 두 문단으로 작성해 보내주세요. 그러면 이사회에서 여러분의 글을 검토하고 가입 신청을 수락할지 결정합니다.

내가 얼마나 오픈스트리트맵 수정에 참여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Pascal Neis의 How did you contribute 등의 사이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완벽하게 정확하지는 않지만, 충분히 정확합니다.
  • 프로그래밍에 능통하다면 오픈스트리트맵의 바뀜집합 API로 자신이 기여한 바뀜집합을 모두 불러오세요. 그런 다음 바뀜집합의 created_at 속성을 이용해 최근 365일 중 며칠이나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했는지 계산하세요.

활성 기여자 프로그램으로 재단에 가입하고 싶습니다!

● 최근 365일 중 42일 이상 오픈스트리트맵 수정에 기여했다면, 이 양식을 작성해 주세요.

● 지도 제작 외의 방법으로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면 이 양식에 자신이 어떻게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했는지 설명해 주세요.
가입 링크:
https://join.osmfoundation.org/active-contributor-membership/

자주 묻는 질문

가입할 때 어떤 정보를 제출해야 하나요?

  • 이름
  • 오픈스트리트맵 닉네임
  • 거주하는 국가
  • 이메일 주소(투표용지를 이 때 적은 메일 주소로 보내며,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원 메일링 리스트도 이 주소로 가입하게 됩니다)

재단에 한 번 들어가면 언제까지 재단에 남아 있을 수 있나요?

가입비를 낸 회원이든, 가입비 면제 프로그램으로 들어온 회원이든 매년 자격을 갱신해야 합니다. 갱신 날짜가 다가오면 안내 메일을 보냅니다. 회원 갱신 방법은 가입 방법과 비슷합니다. 갱신일 기준으로 이전 365일 동안 42일 이상 오픈스트리트맵 수정에 기여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또 다시 자신이 오픈스트리트맵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글로 써서 보내면 됩니다.

제가 알아야 할 사항이 더 있나요?

법적으로,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의 모든 구성원은 가입 신청서를 읽고 검토할 수 있습니다(다만 가입 신청서를 구성원들에게 주기 전에 그 신청서를 읽어야 하는 이유를 물어봅니다. 바로 모두에게 뿌리지는 않습니다). 가입비를 내고 가입한 사람과 면제 프로그램으로 가입한 사람을 서로 구별할 수 없습니다. 이름, 국가, 이메일, 오픈스트리트맵 닉네임만 노출됩니다.

왜 이런 활성 기여자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건가요?

활발하게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재단을 장악하려는 특정 집단의 대량 가입 사태를 더 잘 버틸 수 있습니다. 우리는 15파운드(약 28,000원)를 충분히 낼 여력이 되는 사람들도 돈 대신 기여로 재단에 가입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면 더 많은 사람이 재단에 가입할 것으로 믿습니다. 또한 프로젝트에 열심히 기여했는지 평가하는 것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이 있는지 평가하는 것보다 쉬우며, 민감한 개인정보를 요구할 필요도 없습니다. 잠재적으로 가입비 수입이 줄어드는 문제는 치명적이지 않습니다. 사실, 15파운드 이상을 기부하는 재단원들이 꽤 있습니다. 이러한 기부금은 가입 조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 42일을 기여했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기여일이라는 개념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다만 우리 재단은 검증하기 쉽고, 측정/구현하기 용이한 객관적인 평가 지표가 필요할 뿐입니다.
그렇다면 왜 42일입니까? 지도 제작에 참여하는 모든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구성원(전체의 83%)들의 기여일을 측정한 결과, 이 중 대략 절반이 1년에 42일 이상 기여했습니다. 우리는 재단 회원들이 “다소 두드러지는” 기여를 하길 기대합니다.

42

어떻게 제 기여분을 일 단위로 쪼개나요?

각 바뀜집합의 타임스탬프를 이용해 기여일을 측정합니다. 하나의 바뀜집합 안에 있는 모든 변경 사항은 동일한 타임스탬프를 갖습니다. 1일의 기준은 UTC 시각으로 자정부터 자정까지입니다.

돈을 받고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한 경우도 포함하나요?

“활성 기여 프로그램”은 오픈스트리트맵에 대한 여러분의 참여도를 봅니다. 우리는 자원봉사로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한 것만을 ‘참여도’로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직장에서의 일로서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를 조직하거나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한 것들은 참여도에 고려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단 자유롭게 여러분이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한 점을 설명해 보세요. 그러면 이사회에서 투표를 통해 여러분을 가입시킬지 결정합니다.

재단을 속여서 가입하는 사람도 있지 않을까요?

우리 재단은 이 제도를 악용하는 경우를 논의했습니다. 신청서를 받을 때, 우리는 신청서에 적힌 오픈스트리트맵 계정으로 본인 확인 메시지를 보냅니다. 물론 여러분이 60일 동안 점 하나만 붙들고 그것만 깔짝거릴 수도 있고, 아마 이사회에서 이 점을 눈치채지 못하고 재단에 가입시켜 버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분명히 사기이며, 가입 작업반에서 회원의 기여분이 전혀 의미없다는 것을 알아내면 그 회원을 재단에서 탈퇴시킬 수 있습니다.


기존의 가입비 면제 프로그램은 어떻게 되나요?

활성 기여자 가입 프로그램은 2018년 1월에 제정된 기존의 “가입비 면제” 프로그램을 대체합니다. 가입비 면제 프로그램에 의하면, 재정적 어려움이 있거나 가입비를 송금할 방법이 없는 사람은 돈을 내지 않고 재단에 가입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2019년 연례 회의에서 이루어진 투표로 기존의 가입비 면제 프로그램은 활성 기여자 프로그램이 대체되었습니다. “재정적 어려움”과 “송금할 방법이 없음” 규칙은 완전히 없어졌습니다. 기존 정책에서도 오픈스트리트맵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을 요구했고, 따라서 기존 정책의 혜택을 볼 수 있는 사람은 새로운 정책의 혜택 또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단에 가입하는 다른 방법은 없나요?

기존과 같이, 지금도 1년에 15파운드를 지불하면 재단의 정회원 또는 준회원이 될 수 있습니다..

정회원과 준회원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회원은 자신의 거주지 주소를 완전히 제출해야 합니다.
  • 정회원은 정기 회의에서 모든 안건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반면 준회원은 일부 안건에만 투표할 수 있습니다.
  • 정회원은 재단 이사 후보로 나갈 수 있습니다. 즉, 이사가 될 수 있는 자격이 있습니다.

정회원/준회원 여부는 바꿀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시다면 가입 작업반에 메일을 보내세요(주소는 아래에 있음).

OpenStreetMap logo with magnifying glass, showing stick figures.
오픈스트리트맵 로고를 바탕으로 Ken Vermette제작한 가입 작업반의 로고, CC-BY-SA 3.0 & trademarks apply. Figures by Pascal Neis, reproduced with permission.

자원봉사자로서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가입 작업반을 돕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는 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하며, 여러분은 재단 작업반에 가입함으로써 우리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membership@osmfoundation.org로 메일을 보내 주세요.

가입 작업반의 구성원으로써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입 신청을 관장합니다.
  • 일상적으로 들어오는 질문(정회원과 준회원의 차이, 자격 갱신일, …)에 답변합니다.
  • 은행 송금 내역과 가입자/갱신자 목록을 비교하는 작업을 돕습니다.
  • 재단 가입/갱신 관련 문제를 처리합니다. 여러분이 작업반에 들어오신다면, 원하는 만큼 작업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질문이 있습니다!

membership@osmfoundation.org로 자유롭게 연락 주세요.

Cute half-blobs with eyes, holding sticks with maps.
Tintao의 이미지, CC BY-SA 2.0, 수정함.

RSS 피드를 구독하면 새로운 글이 올라왔을 때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 또는 다른 글을 번역하고 싶으신가요?  communication@osmfoundation.orgHelping with translations in [언어]”라고 제목을 달아 메일을 보내 주세요.

재단은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세워진 비영리 단체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자유 지리 공간 데이터를 누구나 이용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자유 지리 데이터의 성장, 개발, 전파를 장려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 인프라(서버 등)를 소유하고 유지보수합니다. 이에 필요한 재정은 가입비와 로 충당합니다. 또한 재단은 매년 연례 회의와 State of the Map 콘퍼런스를 개최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에 전일제 근로자는 없으며, 재단은 모두 자원봉사하는  구성원으로 유지됩니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