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정점(노드), 길(웨이), 관계, 그리고 열린 태그 체계로 이루어진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구조 덕분에 오픈스트리트맵이 혁신적일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오픈스트리트맵의 데이터 구조를 사랑합니다. 그러나 오픈스트리트맵의 데이터 구조는 오래되었고, 몇 가지 개선할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바꾸고 싶지 않은 점도 많이 있습니다. 특히 자유롭게 열려 있는, 개방적인 태그 체계는 충분히 그 가치를 입증받았습니다. 몇 가지 작은 개선 사항을 생각해 볼 수도 있지만, 키 – 값(문자열) 태그의 무한한 조합을 허용한다는 핵심 발상은 놀랍도록 잘 작동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식 때문에 우리는 몇 가지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지리적 위치를 정점에만 나타낼 수 있으며 길이나 관계와 같은 상위 수준의 지리적 객체에는 나타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길의 위치를 알려면 항상 길에 속한 정점을 조회(참조)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를 처리하기 매우 번거로워지고 많은 컴퓨터 자원을 필요로 합니다. 자주 언급되는 또 다른 주요한 문제점은 ‘영역’ 데이터 유형이 없다는 것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서는 영역 대신 닫힌 길과 다중 다각형 관계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개체가 실제로 유효한 다각형인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엔지니어링 작업반(EWG)은 현재 데이터 구조의 문제점, 가능한 개선 사항, 이러한 개선 사항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연구 보고서를 앞으로 몇 달간 작성하도록 저, Jochen Topf에게 의뢰했습니다. 물론 데이터 구조의 변경 사항은 지도 제작자, 데이터 소비자, 소프트웨어 및 전체 오픈스트리트맵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변경 사항을 단계별로 구현하는 방법 또한 제안할 것입니다.
이번 연구에 관해 논의하고 싶다면 jochen@topf.org로 이메일을 보내 주세요. 2018년 밀라노에서 개최된 State of the Map에서 저는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구조의 몇 가지 문제를 설명하면서, 동시에 osm-data-model 리포지토리를 만들었습니다. 그 곳에도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 주세요. 예비 연구 후에 저는 (있다면) 우리가 원하는 변화와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를 공동체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토론이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영국에 소재한 비영리 단체로,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모두가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지리 공간 정보를 키우고, 발전시키고, 분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은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의 기반 시설을 소유하고 유지보수하며, 회비 및 기부금으로 오픈스트리트맵의 재정을 지원하며, 매년 State of the Map 콘퍼런스를 조직합니다. 우리 재단의 작업반과 소규모의 직원들은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매년 15파운드(약 2만 4천원)를 지불하면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의 회원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하고 있다면 연회비가 면제됩니다.
우리는 접근성 메일링 리스트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왜, 그리고 어떻게 오픈스트리트맵이 그렇게 유용한지’를 물었습니다.
프랑스 클레몽 오베르뉴 대학교(Université Clermont Auvergne)에 다니는 Jean-Marie Favreau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의 강점은 지방 정부든, 단체든, 혹은 개인이든 누구나 접근 가능 여부(‘접근성’)를 기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가별로 휠체어 이용자들의 장비, 습관, 관습은 모두 다릅니다. 전 세계적인 프로젝트인 오픈스트리트맵을 이용하면 직접 목격하고 배운 이러한 차이점들을 쉽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픈스트리트맵은 모두의 것이고, 커뮤니티가 관리합니다. 그 덕분에 휠체어 이용자들이 겪을 수 있는 상황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미국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의 Nick Bolton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보통 지도에는 장애인들을 위한 정보가 없거나, 있더라도 정작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업과 정부 둘 다 장애인을 비롯한 다양한 사람들을 위한 도보용 지도를 지속적으로 만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은 이러한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데 가장 좋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은 유연하고, 민주적으로 확장 가능한 데이터 모델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은 다른 지도들과 달리 접근성 데이터를 직접 추가할 때 지도를 관리하는 기업이나 정부의 검토를 받지 않아도 되죠. 기여한 정보는 바로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베이스에 올라가,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오픈스트리트맵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해 준다는 것에 기쁨을 느낍니다. 장애인들을 위한 앱에 관해 알고 싶으시거나,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여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으시다면 이 글을 계속 읽으세요.
접근성 관련 앱
오픈스트리트맵은 접근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기 용이한 플랫폼입니다. 덕분에 오픈스트리트맵을 기반으로 장애인 관련 앱 또한 많습니다.
접근성 정보를 조사하고 공유하는 앱으로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Wheelmap입니다. Wheelmap은 휠체어의 접근 가능 여부를 오픈스트리트맵에 나타내는 데 유용합니다. 안드로이드, 아이폰 둘 다 지원하고요. 현재 Wheelmap은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없는 코로나19 검사소 데이터를 모으는 캠페인을 하고 있습니다. Wheelmap에 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Svenja Heinecke의 State of the Map 2018 발표 영상을 참고하세요.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한 내비게이션을 제작하는 데 인도 데이터는 매우 중요합니다. 워싱턴 대학교의 Taskar Center에서 주도하는 OpenSidewalks는 인도의 접근성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태그 체계이자 도구입니다. AccessMap은 OpenSidewalks의 자매 프로젝트로, 이동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경로를 찾아줍니다. 이탈리아에서도 파도바와 밀라노의 장애인, 고등학교 학생들, 기타 오픈스트리트맵 커뮤니티 사람들이 모여 비슷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을 위한 실내 내비게이션 앱도 있습니다. AccessbileMaps는 드레스덴 기술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와 카를스루에 기술연구소(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실내의 접근성 정보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순 실내 태그 체계(Simple Indoor Tagging scheme)를 통해 건물의 실내를 (접근성 정보 위주로) 지도화하는 도구를 개발하며, 시각 장애인, 지체 장애인 등을 위한 실내 정보 알리미 앱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Touch Mapper 3d로 인쇄한 촉각 지도
이제 이렇게 모은 데이터를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촉각 지도를 이용하면 시각 장애인이 길을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Touch Mapper는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기반 촉각 지도를 3D로 인쇄해 주는 사이트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Microsoft Research)에서 개발한 Soundscape를 이용하면 주변 환경을 청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시각 장애인이 길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장소를 묘사하기 위해 청각을 이용하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편안하게 주변 환경을 느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앱은 오픈스트리트맵을 기반으로 합니다.
클레몽 오베르뉴 대학교(Université Clermont Auvergne)에서 진행하는 Compas 연구 프로젝트 중에는 촉각, 시각, 햅틱 피드백을 이용한 지도를 구축하는 ACTIVmap이 있습니다.
어떻게 도와줄 수 있나요?
StreetComplete에서 접근성 정보를 편집하는 모습
일반적인 오픈스트리트맵 기여자들처럼 JOSM(PC)이나 iD(PC), Vespucci(안드로이드), StreetComplete(안드로이드), OsmAND(안드로이드/iOS), Go Map!!(iOS)을 이용해 접근성 태그를 오픈스트리트맵에 직접 추가하면 됩니다!
장애인들에게 유용한 태그를 추가하는 방법이 오픈스트리트맵 위키에 나와 있습니다. 아래 있는 예시들은 극히 일부로, 보다 많은 정보를 StreetComplete를 이용해 오픈스트리트맵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촉각 포장 보도블럭(tactile_paving=yes/no)과 촉각을 이용한 지도(information=tactile_map)
장애인 주차 구역(amenity=parking_space + access=no + disabled=yes/designated)
소리가 나는 신호등(traffic_signals:sound=yes/no)
계단에 난간이 있는지의 여부(handrail:left/right/center=yes/no), 계단의 단 수(step_count=*), 경사로의 존재 유무(ramp=yes/no) 및 경사로의 종류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상점(wheelchair=yes/limited/no), 화장실(toilets:wheelchair=yes/no)
도와주는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 예를 들어 장애가 있는 친구에게 오픈스트리트맵을 알려준다든지, 오픈스트리트맵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찾는다든지, 방법은 다양합니다. 지도 제작 파티를 벌여도 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위키를 다른 언어로 번역해도 되고요. 장애인들을 위한 경로 탐색 앱이나 지도 앱을 개발하는 것도 좋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서는 누구나 새로운 태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에 있어야 하는 지물이 없다면, 새로운 태그를 제안해 보세요. 다수에게 그 가치를 인정받은 태그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게 됩니다.